천성산, 소나무 등에 지고 하늘 찌를 듯한
바위능선
|
“아빠! 도롱뇽이 어떻게 생겼어요? 천성산에 도롱뇽이 정말 살아요?”
11월 말 천성산(千聖山·922.2m)은 분위기가 사뭇 을씨년스러웠다. ‘도롱뇽 소송’으로 중단된
경부고속철 공사가 재개되리라는 소식이 전해진 직후여서인지 아니면 화려한 가을이 막 막을 내린 탓인지 축 가라앉았다.
등산인들 사이의 화제는 단연 ‘천성산 터널’이었다. “이렇게 아름다운 산을 굳이 뚫어야 하나?”
볼멘소리를 내는 이들도 있고, “아빠, 도롱뇽 다 죽으면 어떡해요?”, “산을 울리는 거 아니에요?” 걱정하는 아이들도 있었다.
천성산은 그러나 세상사에 아무 관심이 없는 듯 묵묵히 겨울맞이에 들어서고 있었다. 내원사계곡을 비롯해
성불암계곡과 산하동계곡은 낙엽으로 두텁게 겨울옷을 갈아입고, 천성공룡릉은 낙락장송을 등에 인 채 하늘을 찌를 듯한 기세로
뻗어올랐다.
천성산은 예로부터 원적산(圓寂山, 元寂山) 또는 산세가 수려하여 소금강(小金剛) 이라고도 불려온
명산이다. 특히 원효의 척반구중(擲盤救衆) 설화가 전하는 신라고찰 내연사가 들어앉은 내연사계곡은 암반이 수려하고 소와 담이 연이어지는 가운데
사철 맑은 물이 흘러내리는 절경의 골짜기로 이름나 있다.
또한 정상 북서릉은 화려한 억새(초원)능선이자 국내에서 희귀한 중고산층습원으로 수많은 희귀식물이
서식하는 능선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 북사면과 북동릉 일대는 초여름이면 천상화원을 연상케 하는 철쭉밭이다.
천성산은 한반도 내륙의 산봉 가운데 동해에서 떠오르는 새해 일출을 가장 빨리 볼 수 있는 산이기도
하다. 새해 일출 시각 문의는 대전천문대(042-865-3332).
[여행메모] 천성산, 교통-먹거리 등
한필석 월간산 기자 pshan@chosun.com
천성산 자연을 대표하는 내원사계곡~내원사~깔딱고개 길을 따라 천성산 제2봉을 왕복(매표소 기점
4시간)하거나, 혹은 성불암계곡이나 산하동계곡 또는 천성공룡릉을 거쳐 제2봉에 올랐다 내원사계곡을 내려서는 코스(5시간)에 가장 사람이 많이
몰린다.
35번 국도변 용연 삼거리에서 매표소까지 2㎞ 구간은 노선버스가 다니지 않는다. 매표소에서 약 3㎞
떨어진 내원사 주차장까지 승용차로 진입이 가능하다.
양산시내에서 내원사까지 택시요금은 1만2000원 안팎. 내원사 문화재관람료 어른 2000원, 청소년
1200원, 초등학생 1000원. 주차료 대형 5000원, 소형 2000원. 매표소 전화 055-374-6465.
■부산·울산시민이 즐겨 찾는 웅상 기점 코스
천성산 동쪽 웅상 기점 코스들은 노선버스가 수시 운행하는 부산과 울산 산악인들이 많이 찾는다. 소주리
원적암 입구~미타암~철쭉자생보호지역~임도~천성산 제2봉~법수계곡 상단부~능선길~소주공단(또는 법수계곡 상단~법수원~미타암주차장~원적암~불광사)
코스가 인기 있다. 5~6시간 소요. 웅상읍 평산리 장흥저수지~무지개폭포~원효암~천성산~임도~계곡길~장흥저수지 코스도 인기가 있다(장흥저수지
기점 5시간 소요).
■양산 산악인들이 추천하는 홍룡사 기점 코스
홍룡사주차장~계곡길~원효암을 거쳐 천성산으로 올라섰다 북서릉을 타고 상북면사무소 앞으로 내려서거나 또는
화엄늪을 지나자마자 북서릉을 따르다 용주사계곡으로 내려선다. 5~6시간 소요. 준족들에겐 홍룡사 주차장~원효암~천성산~천성산
제2봉~정족산~삼덕공원을 거쳐 답곡리로 내려서는 종주코스(8시간 소요)를 권한다.
■일출 맞이 원효암 코스
일출 맞이 명소는 천성산 정상 북면 억새 둔덕이었으나, 올해 초 정상부의 군시설물이 철거되면서
정상에서도 해맞이가 가능해졌다. 새해 첫날 오전 5시부터 운행하는 원효암 셔틀버스를 이용한다면 해발 800m대 고지까지 차도로 접근해 30분
정도면 해맞이 장소까지 다가설 수 있다. 하산은 다양한 방향으로 잡을 수 있다. 매년 원효산 새해 일출 시각 문의는
대전천문대(042-865-3332)로. 새해 첫날 부산 지역 일출시각은 07:32.
[여행메모] 천성산, 교통-먹거리 등
●대중교통
원효암·내원사 들머리=부산 지하철1호선 명륜동전철역 출발 양산터미널 경유 12번 푸른교통(세원여객)
일반버스 이용. 10분 간격(05:10~01:30) 운행. 요금 1100원.
홍룡사=부산 지하철2호선 덕천역 상승문화회관 앞 버스정류장에서 1일 6회(06:10, 06:55,
09:55, 14:00, 15:30, 19:30) 운행하는 세원여객 113번 버스 이용, 대석 마을 하차. 양산터미널 출발시각은 06:45,
07:30, 10:30, 14:35, 17:05, 20:00. 요금 구포역 1100원. 양산터미널 800원.
무지개폭포·미타암 들머리, 영산대학 = 부산 지하철2호선 호포역에서 1일 11회(06:40,
07:55, 09:20, 11:20, 13:10, 14:20, 15:20, 16:10, 17:20, 17:45,18:50) 출발하는 57번
세원교통 일반버스 이용. 또는 자하철1호선 노포동역(종합터미널)에서 30분 간격(05:00~21:45) 운행하는 301번 삼신교통 좌석버스.
요금 1500원. 삼신교통 (051)508-0047. 1호선 동래역에서 20분 간격(05:55-22:58)으로 출발하는 2000번 좌석도
영산대학으로 간다(요금 1400원).
●숙박·먹거리
양산시내나 통도사 관광단지 혹은 양산시내에서 20분 거리인 언양 등억온천지구 일원의 숙박업소나 식당을
이용한다. 신불산온천(052-262-8300), 언양온천(264-8822) 객실요금 2인 1실 기준 3만원(온천 이용권 2장 무료 제공).
입욕료 남자 4800원, 여자 4500원.
한필석 월간산 기자 pshan@chosun.com
'산행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덕봉~금수산은 산세가 수려하고... (0) | 2006.01.14 |
---|---|
금병산(704.8m) 강원 춘천 (0) | 2006.01.14 |
지리산-지리산10경 (0) | 2006.01.14 |
지리산-계곡 (0) | 2006.01.14 |
지리산-봉오리 (0) | 2006.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