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재~지각산(환선봉)~덕항산~피재(삼수령) 야생화
벌깨덩굴[Meehania urticifolia]
네모난 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새로운 뿌리가 내린다. 잎은 삼각형의 심장형 또는 난형으로 마주나고 잎 밑이 움푹 들어가며, 잎가장자리에는 둔한 톱니들이 있다. 잎자루는 있으나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꽃은 5월에 잎겨드랑이와 줄기 끝에서 꽃자루가 나와 한쪽을 향해 4송이씩 달리는데 연한 자줏빛을 띠는 통꽃으로 꽃부리 끝이 크게 두 갈래로 나누어지고, 갈라진 아래쪽에는 자색 점들과 흰 털들이 있다. 주로 산지의 응달에서 자라며, 어린순은 먹을 수 있다.
쥐오줌풀[Valeriana fauriei]
房)꽃차례를 이루며 무리져 핀다. 꽃은 통꽃이지만 꽃부리[花冠]의 끝이 5갈래로 갈라져 있고 수술은 3개이다. 민들레의 열매처럼 털이 달리는
열매는 수과(瘦果)로 익는다. 습기가 조금 많은 그늘진 곳에서 흔히 자라며, 뿌리와 식물 전체를 가을에 캐서 그늘에 말린 길초근(吉草根)을
히스테리·신경통·간질의 치료에 쓰며 해열제·진통제로 사용한다.
홀아비꽃대[Chloranthus japonicus]
산지의 응달에서 자란다. 마디가 많은 뿌리줄기에서 줄기가 뻗어나오며 종종 덩이줄기를 형성한다. 키는 20~30cm로 줄기는 곧게 서며 자줏빛을 띤다. 줄기 밑부분에는 비늘 같은 잎이 달리며 윗부분에는 4개의 잎이 난다.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마주나지만 마디 사이가 짧아서 마치 돌려나는 것같이 보인다. 잎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표면은 윤기가 나는 막질(膜質)이다. 꽃은 암술과 수술이 있는 양성화로 4월에 수상(穗狀)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차례의 길이는 2~3cm이고 꽃잎은 없다. 흰색의 수술대는 3개로 마치 꽃잎같이 보이며 밑부분이 합쳐져서 씨방에 붙어 있는데 좌우 양쪽의 수술대 2개에만 꽃밥이 달리고 가운데 수술대에는 꽃밥이 없다. 열매는 밑부분이 좁으며 지름이 약 3㎜이다. 홀아비꽃대는 한국을 비롯해 일본·중국에 분포한다. 한국에는 홀아비꽃대와 비슷하지만 전체적으로 크고 꽃차례가 2개인 꽃대(C. serratus)가 중부 이북의 숲속에, 상록아관목인 죽절초(C. glaber)가 제주도 남쪽 계곡에 야생한다. 뿌리는 이뇨제·통경제로 쓰인다.
더덕[Codonopsis lanceolata]
나도냉이[winter cress]
십자화과(十字花科 Brassicaceae)에 속하며 약 12종(種)으로 이루어진
나도냉이속(Barbarea)의 잡초성 풀. |
넓은잎 천남성과 괭이눈이가 함께 피어있는 아주 보기 드믄 장면을 사진에 담은 것은 큰 행운이었다...
넓은잎 천남성
천남성과(天南星科 A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산지의 습한 그늘에서 자라며 뿌리는 납작한 구슬줄기이고 그 위에 얇은 인편(鱗片)이 줄기를 감싼다. 줄기는 녹색으로 때로 자주색 반점이 나타나며, 키가 15~30㎝이고 1개의 잎이 달린다. 잎자루는 2개로 갈라지는데 잎 겨드랑이에 11개의 잔잎이 달린다. 피침형의 잔잎은 끝과 밑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꽃은 5~7월경 암꽃과 수꽃이 다른 나무에 육수(肉穗)꽃차례를 이루며 피는데 꽃차례의 끝은 뭉뚝하다. 포(苞)는 통부(筒部)의 길이가 80㎝ 정도로 녹색이고 윗부분은 모자처럼 앞으로 꼬부라져 통부가 비를 맞지 않게 하고 있다. 열매는 적색으로 익는다.
선괭이눈이
이 꽃이 괭이눈으로 물이 톡톡 튀는 곳에서 많이 자라기 때문에 깨끗한 모습으로 발견되어 다른 꽃들보다 깨끗하다는 인상을 많이 받게 된다. 꽃이 필 즈음이면 가운데 부분이 노랗게 변하는데 어디까지가 꽃이고 어디까지가 잎인지 구분이 안 간다.
"아직 꽃이피지 않은게 안타깝다..."
열매가 맺히면 햇살에
지긋이 감긴 고양이의 눈 같은 모양이 나타나서 붙여진 이름이며, 숲으로 부서져 들어오는 햇빛을 받으면 마치 순금을 바위에 발라놓은 듯 노란빛이
유난히 빛나 보인다. 우리나라 야생화들은 하나같이 정말 예쁘다는 말 밖에는 표현할 수 없다.
이런 아름답고 소중한 것들을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이고 기쁨이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이런 소중한 자산을 자기만 볼 생각으로 무단으로 굴취·채취하여 자기
집 정원에 심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어 앞으로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는 우리 야생화를 외국에서 수입하여 식물원등에서만 볼수 있는 현실이 올
것이다.
이런 현실을 막기 위해서라도 이제부터라도 우리의 귀중한 소중한 산림자원을 잘 보전하고 가꾸어 우리 후손들에게 물러줘야 할
것이다.
현호색[Corydalis turtschaminovii]
현호색과(玄胡索科 Fumar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
한국 전역의 산과 들에서 자란다.
키는 20cm 정도로 땅속에 지름이 1cm 정도인 덩이줄기를 형성하고 여기에서 여린 줄기가 나와 곧게 서며 자란다. 기부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하나의 큰 인편(鱗片)이 있고, 여기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는데 1~2회 갈라지고 뒷면은 흰색을 띠며 잎자루가 길다. 4~5월에 연한
홍자색의 꽃이 총상(總狀)꽃차례를 이루며 피고 꽃부리[花冠]의 길이는 약 25㎜이다. 꽃잎은 입술꽃잎[脣瓣]으로 기부에 거(距)가 있다. 암술은
1개, 수술은 6개이다. 열매는 길이 2cm, 너비 3cm 정도로서 선형의 삭과( ![]() |
큰앵초 Primula jesoana
과 명 : 앵초과
분포지 : 전국의 산지
개화기 :
5~6월
결실기 : 7~8월
용 도 : 관상용. 식용
깊은 산의 그늘진 곳이나 물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전체에 짧은 털이 나 있고 꽃자루는 곧게 서며 높이가 30~40센티미터 정도다. 잎은 뿌리에서 나고 긴 잎자루를 가지며 콩팥 모양의 둥근꼴이고 손 모양으로 앏게 나뉘어져 있다. 꽃은 줄기 끝에 2~3단으로 층을 이루어 각층에 대여섯 송이씩 둘러나고 빛깔은 붉은 자주색이다. 꽃부리는 깔대기 모양이고 5개의 수술은 꽃의 통부 속에 숨어 있다. 어린순은 나물로 이용하고 화분이나 물가에 심어 관상용으로 쓴다. 산의 정상에서 햇빛을 피하면서 피어있는 이 큰앵초는 연약하면서도 강인한 생명력을 지닌 야생화이다.
큰앵초Primula jesoana MIQ.
앵초과 (Primulaceae)
深山地域의 숲속 또는 냇가의 濕地에서 자라는 多年草로서 전체에
잔털이 있고 根莖이 짧게 옆으로 벋으며 원줄기가 없다. 잎은 圓腎形 또는 腎臟狀 心臟形이고 길이 4~18cm, 나비 6~18cm로서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7~9개로 얕게 갈라지고 齒牙狀의 톱니가 있으며 葉柄은 길이 30cm이다.
꽃은 통꽃이고 7~8월에 피며 지름
1.5~2.5cm로서 紅紫色이고 잎 사이에서 엽병의 2배 정도되는 花莖이 나와 그 끝에 1~4층의 꽃이 달리며 각 층에 5~6개의 꽃이 달리고
小花梗은 길이 1~2cm이며 花序 윗부분에 線狀의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은 筒形이고 5개로 깊게 갈라지며 花筒은 길이 12~14mm이고 수술은
5개로 화통보다 짧다. 蒴果는
길이 7~12mm이며 卵狀 긴 楕圓形으로서 남아 있는 꽃받침잎보다
길다.
피나물[Hylomecon vernale]
중부지방의 산지나 북부지방의 산간지역 그늘진 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 옆으로
기는 굵은 뿌리줄기를 가져 영양번식으로 무리를 지어 집단을 형성하며 뿌리는 길고 가늘다. 뿌리줄기에서 길이가 30~50㎝인 줄기와 잎이 나온다.
노란색의 꽃은 4월말에서 5월초에 걸쳐 원줄기 끝의 잎겨드랑이에서 1~3개씩 핀다. 꽃받침잎 2장, 꽃잎 4장이 십자형으로 배열된다. 암술은
1개이지만 암술머리는 2개로 나누어져 있고, 수술은 매우 많다. 여름이 되면 잎과 줄기는 없어지고 열매를 맺는데 열매는 무 열매처럼 긴
삭과(果)이다.
노랑무늬붓꽃
붓꽃과(lirs odaseanensis Y.LEE)여러해 살이풀로 희귀한 식물이다.
속명은 "연미,조선연미"이며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깊은 산 위쪽 풀밭에서 자란다.
5월~6월에 개화하며 흰색 바탕에 노랑무늬가있는게 틍징이며 7월에 열매를 맺는다.
주로 관상용이나, 그 뿌리나 줄기는 약용으로 많이 쓰인다.
산괴불주머니[Corydalis speciosa]
긍강소나무(황장송)
태백산맥줄기를 타고 금강산에서 울진, 봉화를 거쳐
영덕, 청송 일부에 걸쳐 자라는 소나무는 우리 주위의 꼬불꼬불한 일반 소나무와는 달리 줄기가 곧바르고 마디가 길고 껍질이 유별나게 붉다. 이
소나무는 금강산의 이름을 따서 금강소나무(金剛松) 혹은 줄여서 강송이라고 학자들은 이름을 붙였다. 흔히 춘양목(春陽木)이라고 더 널리 알려진
바로 그 나무다. 결이 곱고 단단하며 켠 뒤에도 크게 굽거나 트지 않고 잘 썩지도 않아 예로부터 소나무 중에서 최고의 나무로
쳤다. |
피재or삼수령(三水嶺915m)
황지 2동과 적각동 경계에 있는 높은 고개로 천의봉 동북편에 있다. 해발 915m 정도 되는데 35번 국도가 지나가며 포장이 되어 있다. 옛날부터 황지지역이 「이상향」이라 하여 시절이 어수선하면 삼척 지방 사람들이 난리를 피해 이 고개를 넘어 왔기에 피난(避亂) 온 고개라는 뜻이며 피해오는 고개라는 뜻이다. 또한 피재를 피산장등(彼山長嶝, 一云彼嵬長嶝)이라고도 하는데 피안(彼岸 : 이상향, 고통이 없는 理想境)으로 가는 큰 산등이란 뜻이다. 직치(稷峙)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피재를 한자표기로 하는 과정에서 피직(稷)자를 쓴 것이다. 70여년 전 봇짐장수와 등짐장수(褓負商)들이 세운 산령각(山靈閣)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졌다.
피재(915m)는 '산자분수령'(山自分水嶺)을 증명이라도 하듯 하늘에서 내린 빗물이 한강, 낙동강,
오십천으로 나뉘는 곳이라 하여 '삼수령'(三水嶺)이라 부른다. 즉, 낙동강과 한강, 오십천의 물길을 가르고 있으니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다. 피재를 기준으로 북쪽으로는 한강이, 남쪽으로는 낙동강이, 동쪽으로는 오십천의 물길이 되어 이 땅의 곳곳을 적시니 산과 강은 우리의
생명이다.
한편 이 부근은 산골 중의 산골로 아무리 둘러보아도 쌀 한톨 심을 평지라곤 찾아보기 어렵다. 해서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사람이 살 만한 땅이 못 된다”고 기록된 땅이다.
피재에는 삼강(낙동강,한강,오십천)이 발원하는 삼수령"임을 알리는 안내판이 있고 무엇보다도 남한땅 백두대간에서 정맥이 최초로 분기되는 기점으로 낙동정맥이 갈라져 부산 몰운대까지 장장 359km가 이어진다. 또한, 덕항산 들머리로 들어서면 넓따란 주차장이 있고, 삼수정이란 육각정자와 "빗물의 운명"이란 내용을 새겨둔 조형탑이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하늘이 열리고,
우주가 재편된 아득한 옛날 옥황상제의 命으로
빗물 한가족이 大地로 내려와
아름답고 행복하게 살겠노라고 굳게 약속을 하고
하늘에서 내려오고 있었다.
이 빗물 한가족은 한반도의 등마루인
이곳 三水嶺으로 내려오면서
아빠는 낙동강으로,
엄마는 한강으로,
아들은 오십천강으로 헤어지는 운명이 되었다.
한반도 그 어느 곳에 내려도 행복했으리라
이곳에서 헤어져 바다에 가서나 만날 수밖에 없는
빗물가족의 기구한 운명을 이곳 三水嶺만이 전해주고 있다
2006년 05월 21일 산행
'백두대간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제단으로 가는 길에 (0) | 2006.06.20 |
---|---|
삼수령(피재)~매봉산~금대봉~함백산~화방재 야생화산행 (0) | 2006.06.05 |
국수봉의 야생화 (0) | 2006.05.08 |
큰재~국수봉 (0) | 2006.05.08 |
국수봉~용문산 (0) | 2006.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