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 정보

[스크랩] 겨우살이에 대해서

작은岳馬 2006. 4. 10. 09:26

겨우살이 복용 방법

1. 강원도 높은 산에 가서 참나무에 붙어 있는 겨우살이(유기생)를 채취한다.

2. 겨우살이를 깨끗이 씻어 양지 또는 음지에서 말린다. (아무데서나 말려도 됨)

3. 1주일 정도 지나면 먹기 좋은 크기로 집에서 쓰는 가위를 사용하여 한 5센티

   간격으로 잘라서 다시 말린다. (약 4주 이상 건조 시킴)

 ▶ 생으로 먹으면 풀 냄새가 나서 먹기도 안 좋고 약효도 떨어짐 대부분의

     한약제는 말려서 달여 먹는다.

4. 겨우살이 20~25그램을 살짝 헹구어 유리 용기(마트에 가면 2만원 정도에

   구입가능) 또는 질그릇을 사용하여 물 2리터를 넣고 함께 끓인다.

5. 겨우살이가 노랗게 우러나면 불을 끄고 식힌다.

( 물이 약 4~5센티 정도 줄어  들면 다 달여진 상태임)

6. 다 식은 겨우살이 물은 냉장고에 넣어 두고 수시로 목마를 때 마신다.

 ▶ 따뜻한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데워서 먹으면 좋다.

7. 겨우살이가 많을 때는 겨우살이 달인 물로 밥을 지어 먹거나 탕을 끓여 먹는다.

   (심지어 저는 겨우살이 달인 물로 커피를 타 먹음)

8. 겨우살이는 3~4번 정도 재탕을 할 수 있고 4탕을 해서 먹은 겨우살이는 햇빛에

   바짝 말려 나중에 이것을 모아서 50그램 정도를 넣고 다시 끓여 먹는다.

 (나중에 말렸다가 끓여 먹는 이 겨우살이 달인 물이 더 구수하고 맛있음)

0...위의 방법은 겨우살이 끓여 먹는 저의 방법입니다...

사람들 마다 각자 달여 먹는 방법이 조금씩 다를 수 있사오니 단지 참고만 하십시요...

겨우살이
식물명(별명)
겨우살이, (기동(寄童), 기생수(奇生樹), 동청(凍靑), 여라(女蘿), 기생, 기생자, 상기생(桑寄生;뽕나무겨우살이), 북기생, 유기생(楡寄生), 백기생(동백나무 겨우살이))
학,과명
Viscum album var. coloratum , 겨우살이과
생 약 명
상기생(桑寄生), 상상기생(桑上寄生), 곡기생, 기생목(寄生木)
설 명
♣ 참나무·물오리나무·밤나무·팽나무 등에 기생하는 기생식물이다. 둥지같이 둥글게 자라 지름이 1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다육질이며 바소꼴로 잎자루가 없다. 가지는 둥글고 황록색으로 털이 없으며 마디 사이가 3∼6cm이다. 꽃은 3월에 황색으로 가지 끝에 피고 꽃대는 없으며, 작은 포(苞)는 접시 모양이고 암수딴그루이다. 열매는 둥글고 10월에 연노란색으로 익는다. 과육이 잘 발달되어 산새들이 좋아하는 먹이가 되며 이 새들에 의해 나무로 옮겨져 퍼진다. 여름에는 반그늘에서 자라고, 겨울에는 광선을 많이 받는다. 노지에서 월동하고 16-30℃에서 잘 자라며 환경내성은 보통이다.
분포와 생육지
겨우살이는 한국, 중국, 일본을 비롯한 동북 아시아와 유럽 전지역에 걸쳐 널리 분포하며 대게 열대지방에 많다. 전세계적으로 30속 1500여종의 겨우살이 종류가 퍼져 있으며, 국내에는 5종이 분포한다.
약 효
진통, 소염, 지혈, 항암.
적응증
♣ 힘줄, 뼈, 혈맥, 피부를 충실하게 하며 수염과 눈썹을 자라게 한다. 요통, 옹종과 쇠붙이에 다친 것을 낫게 한다.
♣허리 디스크와 소아의 하체 발육부진, 근육무력증에 응용하면 골절을 강화시키고 근육의 수축력을 증가시켜 효험을 본다.
♣ 임신 중에 복용하면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순산을 하게하며, 척추 회백질염에도 쓴다.
♣ 암치료물질을 추출하여 임상에 사용하고, 혈압강하 효과도 나타났다.
특기사항
겨우살이처럼 항암성분 및 면역강화물질이 한 식물안에 다량 들어있는 경우는 매우 드문 일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산삼을 가장 귀한 약초의 상징으로 꼽듯이, 유럽인들은 겨우살이 (Mistletoe)를 그렇게 여긴다.
약용부위
전초
채취와 법제
가을 ~ 겨울(10 ~다음해 봄) 사이에 채취한다.
약 성
성질이 평하고 맛은 쓰고 달며 독이 없다.
사용법
전초 30~40g에 물 1000ml를 넣고 2~3시간 달여서 식전 또는 식후 2시간에 복용한다.
대증요법
주의사항
♣ 겨우살이는 철과 동을 싫어하는 식물이므로 겨우살이를 끓일 때에는 유리주전자나 약탕관에 넣고 끓이는 것이 좋다.
겨우살이의 경우 대략 70%의 사람들이 명현현상을 경험하게되며, 증상으로는 현기증, 설사, ♣ 구토, 졸음, 발열, 월경불순, 두통, 가려움, 전신무력감, 통증, 코피, 혈변, 변비, 경련 등을 비롯하여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기간으로는 보통 일주일에서 20일까지 다양하지만 자연스럽게 증상이 사라지는 특성이 있다.
♣ 민간요법에서는 참나무류나 떡갈나무에서 자란 것만을 쓰며, 버드나무나 밤나무에서 자란 것을 달여먹으면 두통 증상을 보이는 등의 부작용이 생긴다고 한다.
기 타
♣ 뽕나무에는 흔히 보는 늘푸른 겨우살이가 아니라 잎이 넓고 줄기가 갈색이며 열매도 갈색으로 익는 귤잎 모양의 낙엽성 '꼬리겨우살이'가 아주 드물게 자란다. 이를 상상기생(桑上寄生)이라 하는데 겨우살이 중에서도 최상품이며, 국산은 아주 드물다.
♣ 동백나무 겨우살이는 백기생이라고도 부르는데 크기는 10cm 내외로 아주 작으며, 생김새도 참나무겨우살이와는 다르다. 주로 동백나무, 광나무, 사철나무, 감탕나무,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생달나무, 우묵사스레피나무, 꽝꽝나무, 참나무류 등에 붙어서 자라며, 동백나무나 광나무에 자란 것이 효과가 높고 사스레피나무에 자란 것은 쓰지 않는다.
조리법
♣ 겨우살이차"로 마시는 방법.
① 유리주전자에 하루에 마시는 양의 물과(500~1리터) 깨끗이 헹군 겨우살이(10~60g, 보통 30g)를 넣는다.
② 가장 약한 불로 1시간 정도 달여 수시로 마신다.
♣ 겨우살이술(寄童酒)로 마시는 방법.
① 술독의 1/3 정도를 깨끗이 씻은 겨우살이 잎과 가지로 채운다.
② 나머지를 35° 이상의 술로 채우고 밀봉한다.
③ 서늘한 곳에 5개월~1년이상 보관 숙성시키면, 황색을 띤 술이된다.
④ 1일 1~3회, 한번에 한잔에서 반잔정도 마시거나 끓여서 뜨거울 때 마신다.
♣ 건강원에 부탁하여 달임액 팩이나 환을 지어 먹는 방법도 있다.
사 진

출처 : 山行 그리고 Marathon
글쓴이 : 너른숲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