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1950m) 산행 안내
높이 1,950m. 남한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제주도 전역을 지배한다.
한라산이라는 이름은 산이 높아 산정에 서면 은하수를
잡아 당길 수 있다는 뜻이며, 예로부터
부악(釜嶽)·원산(圓山)·선산(仙山)·두무악(頭無嶽)·영주산(瀛州山)·부라산(浮羅山)·혈망봉(穴望峰)·여장군 등으로도 불려왔다.
동국여지승람〉에는 1002, 1007년에 분화했다는 기록과 1455, 1670년에 지진이 발생하여 큰 피해가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한라산 정상에는 지름이 약 500m에 이르는 화구호인 백록담이 있으며, 360여 개의 측화산, 해안지대의 폭포와 주상절리,
동굴과 같은 화산지형 등 다양한 지형경관이 발달했다.
또한 난대성기후의 희귀식물이 많고 해안에서 정상까지의 다양한 식생변화가 매우
특징적이고 경관이 수려하여 세계적인 관광지로 발전할 수 있는 자원을 갖추고 있다. 1970년 3월 24일 한라산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한라산을 중심으로 총면적 149㎢의 지역이 천연보호지역(천연기념물 제182호)으로 지정되었으며, 한라산국립공원은 거의 제주도
전역에 걸쳐 있다. 한라산 정상에는 백록담이
있으며, 산기슭 곳곳에는 기생화산(측화산 또는 오름) 360여 개가 산재한다.
또한
화산폭발시 정상으로부터 흘러내린 용암이 식어 빚어진 기암기봉과 물 없는 계곡, 용암동굴등과 섬 특유의 경관이 독특한 풍광을 자아낸다.
하천의 수원을 이루는 분수령은 한라산을 중심으로 서쪽은 한대악·볼레오름과 동쪽은 성판악을 연결하는 산릉으로 이곳에서 북류하는
하천으로 별도천·산지천·한천·도근천·외도천 등이 있고, 남류하는 하천으로 송천·효돈천·연외천·정방천·강정천·악근내·소가래천 등이 있다.
북쪽의 하천에는 폭포가 거의 없으나, 남쪽의 하천에는 하류에 폭포가 발달하여 정방천 하류에는 정방폭포, 연외천 하류에는
천지연폭포, 소가래천 하류에는 천제연폭포가 있다.
유명한 계곡으로는 돈네코계곡을 비롯하여 한천의
탐라계곡·영실계곡·개미계곡·외도천계곡, 도근천의 골머리계곡·효돈천계곡·수악계곡·도순천계곡 등이 있으며, 한라산에 있는 용암동굴로는
구린굴·홍쾌·상괘 등이 있다.
한라산 정상 서남쪽 기슭 고지대에는 일명 오백나한이라고하는 영실기암이 있는데 제주의 수호신격인
설문대 할망의 500아들이 어머니를 그리며 울다 화석이 된 것이라고 전
한다.
또한 한라산의 해발 1,000m 이상
지역에는 속밭·상밭·장구목·큰수레밭 등과 윗세오름 일대 및 삼형제봉 일대에 작은 고원이 많이 발달했다.
한라산을 횡단하여 제주시와
서귀포시를 연결하는 한라산 제1횡단도로의 최고지점은 성널오름휴게소(높이 750m)이며, 이곳에서부터 12㎞가량의 등산로가 개설되어 있다.
도로 주변에는 난대림이 무성하고 높이 600m 지점에 관음사가 있다. 관음사를 지나면 화산침식잔구인 개미목산장이 있으며, 이곳에서
바라보는 제주시의 경관이 뛰어나다.
한라산 서쪽 사면을 지나 서귀포시 중문과 제주시를 연결하는 한라산 제2횡단도로의 최고지점은
탐라휴게소(높이 1,085m)로서 한국의 포장도로 가운데 가장 높은 곳에 해당한다. 어리목에서 한라산 정상을 거쳐 장구목까지 펼쳐진 철쭉밭에서는
매년 5월 개화기에 한라산 철쭉제가 열린다.
이밖에 한라산국립공원 내에는
사제비동산·만세동산·윗세마름·삼각봉·탐라계곡·Y계곡·석굴암 등의 명소가 있다.
산행길잡이;
한라산 등반은 성판악에서 시작
하여 백록담(한라산 정상)에 오른후 관음사로 하산하는 코스와, 어리목산장에서 시작하여 윗세오름(1714m)에 오른후 영실 휴게소로
하산하는 2개의 코스가 가능하다...
한라산의 입산 시간은 오전 07시부터 오후12시까지 가능하무로 시간에 맡추어 입산 통제소를
통과 하여야 산행이 가능하다.
산행코스;
1;
성판악-사라대피소-진달래밭대피소-백록담(1950m/한라산정상)-용진각대피소-용진굴-개미목-관음사(9시간소요)
2;
어리목산장-사제비오름-윗세오름-윗세오름대피소-휴게소-관리사무소-표고밭-도로(6시간)
출처 :
한국등산중앙회 http://www.kmla.co.kr/
'산행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라산 - 관음사 코스 (0) | 2006.01.14 |
---|---|
전국 산행 정보 (시도별) (0) | 2006.01.14 |
청양의 명소, 칠갑산 (0) | 2006.01.14 |
충북 영동, 여행/산행 (0) | 2006.01.14 |
지리산 삼봉산(1,187m) (0) | 2006.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