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대장정] 제1구간-백두대간
지형지질 지각변동으로 융기한 후 침식으로 백두대간 형성 태백산맥은 지질학적 구조선, 백두대간은 분수계에 근거한 산줄기 체계 | ||||||||||
한민족 우리 겨레의 영산인 백두산에서 뿌리를 내리고 두류산-낭림산-백산-북대봉-금강산-설악산-오대산-태백산-소백산-속리산-덕유산-지리산까지
줄기차게 달려온 장엄하고도 유장한 산줄기, 바로 백두대간이다. 단 한 번도 물줄기에 의해 잘리지 않고 이어져 내려온, 국토의 등뼈를 이루는
산줄기다. 따라서 백두대간에 대한 이해 없이 이 나라 이 땅에 대한 이해는 전적으로 불가능하다.
태백산맥은 없다?
산경표에 의하면 분수계를 따라 대간과 정간 그리고 13개의 정맥으로 분류했는데, 이러한 분수계를 따라 언어·풍속·생활 습관·기후 등 인문 및 자연 현상에 큰 차이를 나타내어 자연스럽게 지역을 구분 짓는 경계선이 되었다. 그러므로 백두대간이란 개념에는 이 땅에 터를 잡고 살아온 우리 조상들이 땅과 물을 바라보는 시각, 자연과 우주를 바라보는 관점이 포함돼 있다고 할 것이다. 반면, 태백산맥을 포함한 산맥체계는 일본의 지질학자 고토 분지로(小藤文次郞·1856-1935)가 지질 구조에 근거하여 제시한 것으로, 실제 지형과 일치하지 않는 인위적인 구분이다. 그러므로 우리 민족의 삶과 크게 동떨어진 것이며, 여기에는 민족 정기를 말살하기 위한 일본인에 의도가 숨겨져 있다고 하여 사회 일각으로부터 신랄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 비판의 화살은 지질 구조에 근거하여 산맥을 가르치는 필자가 몸담고 있는 지리 교육계로 곧장 날아들었다. 그러나 오늘날 지리 교과서에 실려 있는 산맥 지도는 일제 강점기에 교육용으로 단순화시킨 것으로, 고토가 제시한 것과는 사뭇 다르다. 만약 백두대간 개념에만 매달린다면 산맥의 성인(成因)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산맥 체계를 이해하고자 할 때는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지형학과 지질학의 과학적인 지식에 기초한 사실을 전적으로 부정한 상태에서는 이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지질 구조에 근거한 현행 산맥 체계와 산줄기, 즉 분수계에 근거한 백두대간 체계는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태백산맥인가, 백두대간인가에 대한 논의는 하나를 없앤다고 해결될 성질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에게는 태백산맥도 중요하고 백두대간도 중요하다. 그러나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이 땅이 힘겨운 산고(産苦) 끝에 만들어낸 산줄기, 백두대간에는 우리 민족의 정기와 생명이 살아 숨쉰다는 사실은 분명히 기억해야 할 것이다.
고위평탄면은 산맥의 융기를 말해주는 증거 지형 백두대간은 곧 문화적 차이의 경계
이렇게 험준한 백두대간이 남북으로 길게 이어져 내려갔기 때문에 생활상도 대간을 중심으로 동과 서로 자연스럽게 양분되었다. 지질구조선에 따라 말하면,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동쪽의 영동(嶺東)과 서쪽의 영서(嶺西) 지역으로 구분되고, 소백산맥을 기준으로 호남권(전라도)과 영남권(경상도)으로 나누어지게 된 것이다. 영동과 영서의 지역 구분에서 영(嶺)의 의미는 물론 단순한 고갯길이 아니라 장벽으로 이어진 산체, 즉 백두대간 자체를 말한다. 영남(嶺南)은 백두대간의 중부, 달리 말하면 소백산맥 중의 새재, 즉 조령(鳥嶺)을 기준으로 그 남쪽을 말한다. 호남(湖南)의 개념은 백두대간(소백산맥)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전북 장수에 위치한 덕유산 자락에서 발원하여 황해로 흘러드는 금강(과거에는 호강 湖江이라고 불렀음) 이남의 지역을 두고 일컫는 말이다. 이렇듯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이라는 자연적인 장벽과 거기서 발원한 강으로 인하여 우리나라는 영동과 영서, 호남과 영남 지방 등으로 나뉘었다. 원활한 교통, 교류가 막히며 백두대간 동·서 양 지방 간에는 기후·풍토·언어·생활 습관 등에 큰 차이가 발생했다. 동서 간에 사람들의 말투를 갈라놓았으며, 음식 맛을 다르게 하였고, 가옥 구조와 영농 방식을 변화시키는 등, 동서 지방 간의 문화적 경계를 이루었다. 죽어 가는 백두대간을 살려야 한다
그러나 현재 백두대간이 앓고 있는 환경 문제 가운데 등산객들에 의해 발생하는 환경 훼손 정도는 ‘새 발의 피’일 뿐이다. 1999년 백두대간의 환경 실태를 사례별로 조사·연구하여 발표한 녹색연합 서재철 생태보전국장은 백두대간의 환경 문제가 이보다 훨씬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밝히고 있다. 지리산은 성삼재 도로개설로 자연 환경 파괴 및 생태계가 교란이 심화되고 있으며, 덕유산은 무주리조트 스키장 건설로 주목과 구상나무 군락의 훼손과 구천동계곡이 오염되고 있다. 속리산은 용화온천 개발로 남한강 상류 지역의 수질이 급격히 오염되고 있으며, 태백산에서 구룡산으로 이어지는 서북측 계곡은 군사 폭격 훈련장으로 이용되어 야생 동식물의 서식처가 크게 훼손되고 있다. 자병산은 한라시멘트 석회광산 개발로 보존 가치가 큰 임계 카르스트 지형이 파괴되고 있으며, 점봉산은 양수댐 건설로 천연림 보호구역의 파괴 및 남대천 수질 오염이 심화되는 등 백두대간 전 구간에 걸쳐 각종 난개발로 인하여 자연 환경이 크게 훼손되었다. 이처럼 백두대간이 흉물스럽게 파헤쳐지자 여러 환경단체들이 백두대간의 보호를 위해 한 목소리를 내게 되었다. 그리고 이제는 정부 차원에서도 생태의 보존과 보호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정부는 한반도의 핵심 산줄기이며 생태계의 보고인 백두대간을 잘 보전하여 후손들에게 물려주기 위하여 2003년 12월31일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법률 제7038호)’을 제정·공포하고, 2005년 1월1일자로 시행에 들어간다. 그러나 백두대간이 통과하는 6개도의 30여 개 시군 자치단체들은 백두대간 보전의 필요성은 크게 공감하고 있지만, 백두대간 보호법이 개인의 재산권을 침해하고 지역 현실을 무시한 가운데 보호구역이 설정되었다며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 백두대간의 온전한 보전은 이곳에 터를 잡고 살아온 주민들의 협력 없이는 결코 성공을 거둘 수 없는 문제이기도 하다. 우리는 우리나라 자연환경의 상징적 존재이기도 한 백두대간의 보전을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시점에 와 있다. 주민들의 요구를 합리적으로 수용·조절하여 백두대간 보호법의 문제점을 보완, 이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데 우리 모두가 지혜를 모아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
'백두대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대장정 제14구간] 선달산 르포 (0) | 2006.02.04 |
---|---|
[스크랩] 백두대간,1정맥,13정간 (0) | 2006.01.27 |
[백두대간 대장정] 제1구간-백두대간 역사지리② (0) | 2006.01.27 |
[백두대간 대장정] 제1구간-지리산 르포① (0) | 2006.01.27 |
[백두대간 대장정 제2구간] 남원 문화 (0) | 2006.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