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대장정 제13구간] 소백산 -
르포 피해갈 수 없는 바람이라면 차라리 즐기자 죽령~연화봉~비로봉~국망봉~늦은맥이~고치령 | ||
소백산의 바람은 단순한 기상현상이 아니다. 설악산의 울산바위나 지리산의 노고단처럼, 일종의 붙박이 상징물이다. 여름철의 남동풍이든 겨울철의 북서풍이든, 일단 그것이 소백산으로 들어서면 절대강자로 바뀐다. 여름 소백산에서 비를 동반한 바람을 맞아본 사람은 누구나 어금니가 부딪치는 경험을 했을 것이다. 잔뜩 습기를 머금은 바람이 등성마루에서 비를 뿌리며 기온을 끌어내리기 때문이다. 겨울철은 또 어떤가. 거의 빈도 80%를 보이는 북서풍은 수직으로 소백산릉에 안긴다. 올올이 탄성 좋은 금속 줄 같은 그 바람을 맞아본 사람은 알 것이다. 고통의 임계점을 넘으면 화끈거릴 정도가 된다는 것을.
유쾌한 얘기는 아니지만 이왕 바람 얘기가 나온 만큼 안전사고에 대한 이야기를 피해갈 수 없을 것 같다. 2001년의 경우 지리산은 239건의 안전사고 중 사망 2건, 설악산은 82건 중 2건, 소백산은 6건 중 2건이었다. 사고건수 대비 사망률을 백분율로 환산하면 지리산 1%, 설악산 2%, 소백산 33%다. 다른 해를 봐도 사고건수는 비교가 안 될 정도이지만 사망사고 건수는 비슷하다. 소백산의 경우 사고건수는 산악 국립공원 중 가장 낮다. 산세가 워낙 너그럽고 계곡이 발달하지 않아서 부상 사고도 거의 없다. 그런데도 해마다 사망자가 발생한다. 겨울철 바람 때문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밖에 없다. 책을 통해 저체온증으로 죽어간 사람들에 관한 얘기를 보면, 죽음을 맞는 순간에는 거의 무감각 상태가 된다고 한다. 그 다음부터는 영화의 한 장면처럼 심장박동수가 급격히 떨어진다는 것이다. 어쨌든 소백산은 바람의 나라다. 어떤 방법으로든 소백산에서는 바람을 피해갈 수 없다. 가장 현명한 선택은 바람과 연인으로 지내는 것밖에 없다. 그 사랑의 방식은 역설적이게도, 겹겹이 껴입고 꽁꽁 여며서 스킨십을 어렵게 하는 것이다. |
죽령~연화봉~비로봉~국망봉~늦은맥이~고치령 | ||||||||
‘등산은 맹목적이어야 한다’ 중앙고속도로가 생기면서 죽령터널이 뚫리는 바람에 늘 저잣거리처럼 붐비던 죽령 마루는 인기척이 없다. 그나마 주인 잃은 강아지처럼 떨지 않을
수 있는 건 옛 휴게소 건물을 일부분씩 임대해 지역 특산품과 커피를 파는 아주머니들 덕분이다.
천체관측소에서 연화봉(1,383m)까지는 5분 남짓. 이곳에서부터 트레일은 북쪽으로 허리를 곧추세우며 제1연화봉을 향한다. 나무계단으로 된
오르막이다. 봄철 철쭉 산행 시즌에 20만~30만 명이 몰리는 소백산의 특성상 불가피한 시설로 보인다. 자연과 인간의 타협이다(산이 동의한 바는
없지만, 인간도 자연의 한 부분이라는 사실에 입각하면 못 할 말도 아닐 것이다).
끝으로 한 가지 더. “맹목적으로 오르는 등산이 등산로를 훼손한다”고 하는데, 듣기 참 그렇다. 등산에 있어 ‘맹목’이란 본질 아닌가.
그럼 어떤 목적을 가져야 하는가. 물론 도토리 줍고, 산나물 캐고, 고로쇠 물 빼먹는 행위를 합목적적 행위라고 하는 게 아니라는 건 안다.
따라서 당연히 등산은 ‘맹목’이어야 한다. 어머니가 자식을 돌보는 행위가 그런 것처럼.
덧붙여 우리말 ‘등산’은 행위자인 인간이 아닌 대상인 ‘산’을 주체로 하는 말이다. 그 말 속에는 이미 산에 대한 외경이 내포돼 있다. 반대로 ‘등반’이란 말은 ‘오르는 행위’ 자체 즉 인간을 주체로 한 말이다. ‘입산’이라는 말은 다른 차원에서 얘기돼야 할 성질일 것이고. (독자 여러분. 엉뚱한 얘기가 길어져서 대단히 죄송합니다. ‘등산이 능선종주와 정상등산 위주로 이뤄지고 있어 등산로 훼손이 가중된다’고 하는데, 사실 이 말은 등산 자체를 범죄시하는 말입니다. 그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등산의 모든 것이니까요. 만약 그 주장이 산기슭을 산책하듯이 산을 찾자는 것이라면 그것이야말로 등산로가 아니라 산 자체를 훼손하는 행위일 것입니다.) 사실 나는 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에 걸쳐 백두대간 종주를 마친 적이 있다. 그때 나는 수없이 거미줄을 걷으며 ‘과연 나는 무슨 권리로 거미 가정을 파괴하는가’ 하는 등의 문제를 놓고 심각히 고민했었다. 아직도 그 문제는 나의 화두 중 하나다. 하지만 나는 한편으로 다른 분들에게도 꼭 해볼 것을, 아니 우리 국민 모두가 했으면 하는 바람을 갖게 됐다. 아이를 키워 본 사람이 남의 자식도 사랑할 수 있듯이, 백두대간 종주를 하고 나면 국토관이 바뀐다. 정녕 자연과 지속적이고 민주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연 속에서 배우는 수밖에 없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산 위에서 골프장을 보면 그곳의 농약이 우리 몸에 쌓이는 경로가 금방 그려진다. 반대로 울창한 숲을 걷다 보면 그 소중함이 가로수에 대한 사랑으로 이어진다. 환경담론은 구름을 타는 것이어서도 안 되고, 도덕적 우월감을 바탕으로 한 것이어서도 안 된다. 자칫하면 도덕적 자기기만이나 지적 허영으로 흐르게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
피해갈 수 없는 바람이라면 차라리 즐기자 죽령~연화봉~비로봉~국망봉~늦은맥이~고치령 | ||||
늦은 봄이면 철쭉이 만발할 산허리는 설핏 눈을 덮고 있다. 발의 촉감이 나쁘지 않다. 약간 미끄러운 눈길에 거의 적응이 돼 가자
제1연화봉(1,394.4m)이다. 비로봉과 국망봉으로 이어지는 장쾌한 능선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구름을 탄 기분이다. 하지만 하염없이 그것을
바라보고 서 있기에는 바람이 너무 맵다. 조금만 멈추어 서 있어도 체온이 떨어지는 게 느껴진다. 대간 으뜸줄기를 지리산쪽으로 틀도록 한 산
그 가운데서도 소백산의 존재 의미를 헤아리기 위해서는 과거로 거슬러 올라야 한다. 이중환(1690-1752)은 자신의 저서 택리지의 복거총론 산수편에서 다음과 같이 우리 땅의 전체 형세를 말한다. ‘(백두산의 줄기가) 남쪽으로 수천 리를 내려가 경상도 태백산까지 한 줄기 마루로 통한다…중략…태백산에서 줄기가 좌우로 갈라져서 왼편 지맥은 동해가를 따라 내려갔고, 오른편 지맥은 소백산에서 남쪽으로 내려갔는데, 태백산쪽으로 내려간 것과 비교할 바가 못 된다.’ 위의 언급은 택리지가 편찬될 때까지도 백두대간의 개념이 확립되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소백산에서 지리산으로 흐르는 줄기의 우위를 인정하면서도, 동해가를 따라 내려간 줄기도 간과하지 않고 있다. 태백산에서 동해로 흐르는 줄기가 곧 낙동정맥인데(정확히는 매봉산 동쪽의 1145m봉에서 갈라짐), 등줄기의 개념으로 보자면 그것이 더 합당한 것 같기도 하다. 그래서 이중환은 으뜸줄기 하나를 설정하지 못하고 두 줄기를 언급했을 것이다. 하지만 산경표의 편찬 시점에 이르러서는 으뜸 줄기를 설정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이때 소백산의 존재감이 그곳으로 대간의 줄기를 설정하게 하지 않았을까. 하지만 이건 상상에 가까운 생각이고, 그래야만 호서정맥에서 호남정맥에 이르는 정맥들이 대간에 수렴된다는 사실을 발견했기 때문에 오늘과 같은 대간이 설정됐을 것이다. 백두대간을 세 부분으로 나누면, 백두산~매봉산, 매봉산~속리산, 속리산~지리산이 될 것이다. 이중 매봉산~속리산의 가운데에 소백산이 있다. 우리 국토의 허리 중에서도 허리가 소백산인 것이다. 지금 우리는 동북방향으로 서서히 동해로 다가서는 소백산의 마루에 서 있다. |
도란도란 얘기 나누며 걷는 고치령 능선
비로봉에서 국망봉을 지나 상월봉에 이르는 대간의 등성마루는 장쾌함과 부드러운 곡선미에 있어 우리 산 가운데서도 으뜸이 아닐까 싶다. 또한
이 구간은 봄에서 여름까지 다양한 들꽃으로 천상의 화원을 이루는 곳이기도 하다.
국망봉(1420.8m)에서 이우는 햇살을 바라본다.
춥고 긴 밤이 돋아나기 시작한다. 영주 시내의 불빛들이 주는 따뜻함이 오히려 몸을 더 움츠리게 한다.
밤새 눈이 내렸다. 무릎까지
빠질 정도는 아니지만 세상을 순백으로 바꿔 놓기에는 충분하다. 바쁘게 산을 넘는 구름이 아침 해를 삼켰다가 토해내기를 반복한다. 언뜻 하늘이
열릴 때, 그 빛기둥을 따라 일어서는 산허리의 풍광은 천지창조의 순간을 재현하는 듯하다.
국망봉 앞에 선 우람한 자태의
상월봉(1394m)까지는 1Km 남짓. 아무도 밟지 않은 눈을 밟고 가는 기분은 칼바람에 대한 보상으로는 과분할 정도다. 상월봉에서 이번 산행의
종점인 고치까지는 실거리 10Km 정도로 4~5시간 소요되지만 그리 힘들지는 않다. 늦은맥이재를 지나 신선봉 갈림길에서부터는 서서히 키를 낮추며
고치를 향한다. 특별한 조망은 없지만 도란도란 얘기를 나누며 걸을 수 있을 정도로 순하다.
고치 고갯마루의 산신각이 반가운 얼굴로
서 있다. 대간 마루에 선 산신각으로는 처음이다. 몇 년 전 불이 나서 새로 세웠다는데, 그 과정에서 영주시 단산면과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꾀나
신경전을 벌였던 모양이다. 함부로 끼어들 얘기는 못되지만, 산을 신으로 아는 이 아름다운 믿음을 더 장려해야 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고치에서 단산면 좌석리까지는 아스팔트 포장이 잘 돼 있다. 에누리 없는 10리 길이다. 부지런히 걸어도 1시간은
잡아야 한다.
백두대간 고샅의 명소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 서원 이번 산행의 종점인 고치에서 좌석리쪽으로 하산하게 되면 반드시 소수서원을 지나게 된다. 길가에 있기 때문에 일부러 많은 시간을 내지 않아도
된다. |
'백두대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대장정 제8구간] 속리산 르포 (0) | 2006.01.27 |
---|---|
[백두대간대장정 제12구간] 도솔봉 - 르포 (0) | 2006.01.23 |
[백두대간 대장정 제11구간] 황장산 - 역사문화 (0) | 2006.01.23 |
[백두대간 대장정 제11구간] 황장산 - 르포 (0) | 2006.01.23 |
[백두대간대장정 제9구간] 대야산 - 역사지리 (0) | 2006.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