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정보

국내 암벽 빙벽등반 대상지

작은岳馬 2006. 1. 14. 14:12
국내 암벽 빙벽등반 대상지
2005/09/09 오후 1:56 | 登山 정보 Map/Site

 

국내 암벽 빙벽등반 대상지


암벽등반 대상지

빙벽등반 대상지


서울, 경기지역

북한산 인수봉
북한산 노적봉
북한산 병풍암
북한산 숨은벽
북한산 백운대
북한산 호랑이 크랙
북한산 코끼리 크랙
북한산 낙화암
북한산 약수암
북한산 수리봉
감악산 설귀암
수락산 내원암
북한산 곰바위 (연습바위)
북한산 나이스봔트
도봉산 선인봉
도봉산 주봉
도봉산 오봉
도봉산 우이암
관악산 관악암장
의왕시 모락산 미래암 (병풍바위)
의왕시 오봉산 병풍바위
안산 수리산 수암봉

남한산성 범굴암
도드람산 돼지굴 암장
북한산 염초봉

강원 지역

설악산 울산바위
설악산 울산바위 리지
설악산 옥녀탕 아갈바위
>설악산 미시령 매바위
설악산 적벽
설악산 장군바위
설악산 미륵장군봉
용화산 새남바위
용화산 장수바위
용화산 한빛벽
원주 간현암
원주 대답바위
원주 소초면 우리암
원주 치악산 입석대
원주 백운산 상바위
양평 소리산 삼형제 바위
철원 복계산 매월대 암장 및 덕구바위
설악산 소토왕골 암장

충남, 충북 지역

계룡산 바가지 바위
계룡산 선불암
계룡산 병풍암

제천 작성산(금수산) 배바위, 솔바위

미원 청석굴 암장
백석1리 백석 암장
충북 화양구곡의 암장들-울바위
충북 화양구곡의 암장들-솔바위
충북 화양구곡의 암장들-학소대

경남, 경북 지역

대구, 유학산 다부동 학바위
대구, 팔공산 병풍바위
대구, 팔공산 바윗골 암장, 북벽,
남벽
대구, 연경동 암장, 도약대...
포항, 죽장 학담암
포항, 내연산 관음암
포항, 내연산 아리랑 볼더
포항, 내연산 연산암, 귀면암, 동아리 볼더, 서운암
부산, 금정산 부채바위 북벽
부산, 금정산 부채바위 남벽
부산, 금정산 무명암
부산, 금정산 대륙봉 암장
부산, 송도암남공원 해벽, 거북암
부산, 송도암남공원 해벽, 상어암
부산, 송도암남공원 해벽, 고래암
의령 신반리의 병풍암, 해골바위
삼천포, 와룡산 상사바위
산청, 쉰질바위
천황산 표충사 매바위
문복산 드림바위
마산, 애기봉 주사위바위
마산, 꼬시락바위
마산, 팔용산 상사바위
마산, 팔용산 계곡암
양산, 원효산 병풍바위
김해, 무척산 탕건바위
김해, 무척산 범바위
김해, 무척산 하늘벽
김해, 무척산 숨은벽
김해, 무척산 가야벽
김해, 무척산 적벽
김해, 무척산 장군바위
백운산 백운슬랩
천태산 시루봉
천태산 천태암
천태산 숨은벽
문수산 병풍바위, 오뚝이, 현중, 촛대볼더 암장
문수산 병풍바위, 기존암장, 천서하이암, 현공OB암 ...
문수산 병풍바위, 은하수암장
문수산 병풍바위, 토끼볼더
문수산 병풍바위, 연합볼더
문수산 병풍바위, 크리센도 볼더, 거북이암, 91 볼더, 크리센도 암장, 패밀리 볼더
밀양 부엉새바위
거제도 애바위
경남 통영 소매물도 바위

전남, 전북 지역

대둔산 용문골 암장
진안, 마이산 알바위
고창, 선운산 투구바위
고창, 선운산 속살바위
고창, 선운산 문바위
고창, 선운산 도솔암일원의 암장
고창, 할매바위, 전좌암
광주, 무등산 새인봉
광주, 무등산 약사암
광주, 무등산 선비바위 월출산, 매봉
월출산, 연실봉
월출산, 형제봉
부안, 장군바위
전주, 임실 학암리 시루바위
전주, 신평 상사바위(할매바위)
전주, 전주 근교 신리암장
전남 구례 자래봉 용소폭 암장

제주도,울릉도지역

울릉도 해벽, 도동항 좌안벽
울릉도 해벽, 저동 용바위
울릉도 해벽, 선창 장군바위
울릉도 해벽, 삼선암

암장을 소개하면서...


국내 암벽등반사를 보면 1930년대 초부터 시작되어 약70년의 암벽등반사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오랜세월의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부끄럽게도 전국의 암장을 전체 소개하는 암장소개서가 아직까지 나오고 않고 있는 실정이다.

1970년대에 악우회에서 발간한 암장소개서는 그당시 클라이머들에게 엄청난 역할을 한 귀중한 보물과도 같았었다. 그후 1990년에 한국등산학교 동창회에서 발간한 '바윗길'이란 암장소개서는 국내 최고의 암장소개서로서 지금까지도 클라이머들에게 없어서는 않될 귀중한 소개서다.

그러나 전국의 암장을 전체 소개하지 못하여 아쉬움을 가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필자는 예전부터 클라이머들에게 꼭필요한 암장소개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계획을 세우고 시도 해 봤지만 그리 쉬운일이 아니였었다.

국내의 암벽대상지가 예상보다 많으며 수천개의 루트가 개척되어 있다.
하지만 적국 각처에 개척되어있는 암장들의 자료를 모으기는 쉬운일이 아니였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암장소개서를 우리손으로 만들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며 이것 또한 클라이머가 해야된다는 것도 당연한 일이였다.

때마침 조선일보사 '월간산'지에서 연재를 하자고 제안이 들어왔고 결국 필자는 고생길로 접어들었다. 필자는 전국의 암장 조사를 마치는데 약5년을 잡았다. 전국의 암장과 클라이머들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암벽루트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라도 다니며 직접 취재를 하고 있다.

혼자서 하는일이라 일일이 하나하나 루트 소개를 하지 못하고 있으만 그래도 사진을 직접 찍으며 개념도도 직접그리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시작이 반 이라고 1997년 9월, 대구 학바위부터 시작한 것이 어느새 마무리 되어 가고 있다.

처음엔 고생으로 생각했지만 지금은 취재 날자를 가다리게 된다. 전국의 클라이머들을 직접 만나 대화도 하고 바위도 하고 이제는 클라이머들을 만나는 재미가 오히려 더 재미있다. 그리고 이 자리를 빌어 전국의 선배,후배,클라이머들에게 깊이 감사를 드린다.

앞으로 2003년중에 전국의 암장 취재가 끝이 나게 된다. 취재가 마무리되면 지금 현재 연재되고 (조선일보사 '월간 산')있는 자료를 단행본으로 가칭 "한국의 암장소개서" 가 출간 될 예정이다.

이곳에 올려지는 자료들은 홈페이지, 책, 전재, 변형 등 무단 복재되어 사용할 수 없음을 알림니다. 단 클라이머들이 등반의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유익한 자료가 되어 클라이밍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이곳에 소개되는 암장은 내용보다 다소 차이가 날 수 있으며 등반을 원할때에는 그지역 클라이머들에게 확인하고 찾아간다면 보다 합리적일 것이다.

김용기.

출처 : http://www.kimcs.com/index.html

서울, 경기지역

명성산 바름폭포
감악산 은계폭
도락산 산학폭 (가래비)
운악산 무지개폭

강원지역

강촌 구곡폭포
설악산 토왕성 폭포

설악산 대승폭포
설악산 소승폭포
설악산 소토왕폭포
설악산 개토왕폭
설악산 갱기폭포
설악산 실폭
설악산 죽음의 계곡 건폭
설악산 칠선폭
설악산 잦은바위골 100m폭
설악산 쉰질폭포
설악산 독주폭
설악산 매바위

충남, 충북지역

월악산 신선폭
월악산 팔랑소폭
월악산 뫼약폭
속리산 굼뱅이,신뱅이폭
무주구천동

경남,경북지역

지리산

전남, 전북지역

무주, 적상산 천일폭

제주도,울릉도지역

한라산

빙장을 소개하면서..


국내에서 본격적인 빙벽등반을 시작한 것은 1960년대부터이며 약4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엔 4계절이 있어 겨울에 빙벽등반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예전에는 12월 중순부터 빙벽등반을 시작하여 3월까지 하였으나 요즘엔 기온이 높아져 사실상 2개월밖에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더구나 남쪽지방에는 잠시 결빙되었다가 다시 녹아버려 꾸준히 등반을 할 수도 없는 입장이다.

국내 빙장을 보면 설악산의 빙폭이 될 것이다. 그러나 설악산의 빙폭들도 날이 갈수록 이상기온의 현상으로 빙벽등반을 할 수 있는 기간은 점점 짧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빙벽등반을 하고자 하는 인구는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며 빙장이 절대적으로 모자라는 실정이다. 특히 일요일이면 각 빙장마다 수많은 클라이머들이 모여 북새통을 이룰만큼 붐비기도 한다.

이곳에 소개되는 빙장은 객관적 입장에서 소개되고 있으므로 날씨에 따라 결빙이 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얼음의 특성상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도 있다.

따라서 이곳에 소개되는 빙장은 참고의 자료로 사용하기 바라며 등반을 원할때에는 그지역 클라이머들에게 결빙상태를 확인하고 찾아가는 것이 보다 합리적일 것이다.